로딩 중입니다.

장애인활동서비스 이용자, 이용자 보호자 및 활동지원사 호칭, 서로를 존중하는 첫걸음 입니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호칭 가이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 및 보호자, 활동지원사 여러분!!

김천부곡사회복지관은 활동지원사와 이용자가 서로 존중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호칭 가이드를 안내드립니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함께 지켜주세요.

 

1. 서로 존중하는 부름

호칭은 예의와 배려의 첫걸음입니다.

적절한 호칭 사용은 서로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신뢰를 쌓습니다.

 

2. 권장 호칭

➤ 이용자가 활동지원사를 부를 때

“선생님”

“○○ 활동지원사님”

➤ 활동지원사가 이용자를 부를 때

“○○님”

“○○ 선생님”

 

3. 피해야 할 호칭

반말 (“야”, “너”)

별명, 외모·장애 특징 언급

나이나 가족관계로 부르는 말 (“아줌마”, “아저씨”, “애기”)

❌ 이러한 호칭은 무심코 상대방의 마음을 상하게 할 수 있습니다.

 

4. 호칭 사용의 효과

상호 존중: 비하적 표현 대신 존중어 사용

신뢰 형성: 긍정적인 첫인상과 원활한 소통

차별 예방: 장애, 성별, 나이에 따른 불필요한 구분 방지

관계의 선 지키기: 사적·공적 경계 유지

 

■ 기억하세요!

부르는 말이 달라지면 관계가 달라집니다.

오늘부터 서로를 예의 있게 불러주세요!


장애인활동지원사업
호칭, 서로를 존중하는 첫걸음
부르는 말이 달라지면 관계가 달라집니다! 오늘 부터 시작
장애인활동지원사업 호칭, 서로를 존중하는 첫걸음 부르는 말이 달라지면 관계가 달라집니다! 오늘 부터 시작
호칭이 중요한 이유
존중과 예의의 표현
1. 상호존중의 기본
비하적인말은 상대방의 자존감을 해칠수 있어요
2. 신뢰 형성
긍정적 인상과 의사소통이 원활해져요
3. 차별 편견 예방
장애, 나이, 성별 등에 따른 호칭은 차별입니다.
4. 서로 간의 거리 유지
전문적인 돌봄관계 및 업무적 전문적 경계를 유지
호칭이 중요한 이유 존중과 예의의 표현 1. 상호존중의 기본 비하적인말은 상대방의 자존감을 해칠수 있어요 2. 신뢰 형성 긍정적 인상과 의사소통이 원활해져요 3. 차별 편견 예방 장애, 나이, 성별 등에 따른 호칭은 차별입니다. 4. 서로 간의 거리 유지 전문적인 돌봄관계 및 업무적 전문적 경계를 유지
권장 호칭 예시
모두가 함께해요
이용자가 활동지원사를 부를때 " 선생님 " " oo활동지원사님 "
활동지원사가 이용자를 부를때 " oo님 " " oo선생님 "
"야", "너", "도우미" , "아줌마" 등 반말, 비하 섞인 호칭은 무심코 상대방 마음을 상하게 할수 있습니다.
문의: 054-439-0160 (활동지원팀)
권장 호칭 예시 모두가 함께해요 이용자가 활동지원사를 부를때 " 선생님 " " oo활동지원사님 " 활동지원사가 이용자를 부를때 " oo님 " " oo선생님 " "야", "너", "도우미" , "아줌마" 등 반말, 비하 섞인 호칭은 무심코 상대방 마음을 상하게 할수 있습니다. 문의: 054-439-0160 (활동지원팀)
댓글 0

복지관은 지금 더보기